[뉴스 열어보기] '공룡 플랫폼' 카카오T의 요금 전횡

  • 3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과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 앵커 ▶

'뉴스 열어보기'입니다.

먼저, 경향신문입니다.

◀ 앵커 ▶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호출과 전기자전거 이용 요금을 인상한 데 이어서 '전화대리' 시장에 진입해 대리운전 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달 초 전화콜 1위 운영사와 함께 신규 법인 케이드라이브를 설립했습니다.

## 광고 ##2016년 모바일 앱 대리호출에 이어서 전화콜 영업 방식의 시장에도 진출한 건데요.

대리운전과 택시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과 독점적 지위 남용을 견제할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대리운전총연합회는 "카카오의 대리운전 시장 진입 이후 전화콜 업체가 절반 넘게 사라졌다"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전화콜 시장마저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서울 도심 주요 상권이 무너지고 있다고 합니다.

80만 명 소상공인의 신용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한국신용데이터포털에 따르면 거리두기 4단계 이후 종로구, 중구, 마포구 등 수도권 주요 상권의 오후 6시 이후 소상공인 저녁 매출은 이전보다 20퍼센트 포인트 이상 떨어졌고 코로나 사태 전에 비해선 반 토막이 났다는데요.

자영업자들은 휴업 아니면 폐업을 선택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지난 5일 하루 동안 1백 건이 넘는 '양도', '급매' 관련 글이 올라왔다는데요.

종로에서 호프집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지난 1년간 빚이 1억 가까이 늘어났는데 폐업을 할 경우 이를 상환해야 하는 데다가 가족을 먹여살릴 다른 방법도 마땅치 않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중앙일보입니다.

서울에서 이른바 '엄빠찬스'를 통한 20대 이하의 아파트 매수 비중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 약 4200건 중 20대 이하의 매입 비중은 5.5퍼센트로 나타났다는데요.

심지어 10대가 부모의 지원을 받아 아파트를 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에서 5월까지 10대가 서울에서 보증금 승계 및 임대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것은 총 6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배에 육박한다는데요.

한 전문가는 "부모 도움을 얻기 힘든 젊은 세대의 상대적 박탈감은 부동산 우울증의 또 다른 사례"라면서 "지금이라도 시장 기능을 정상화해야 부동산 양극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앵커 ▶

이어서 세계일보 살펴봅니다.

대한적십자사의 강원도 원주혁신도시 이전에 따라 아파트 특별공급을 받은 임직원 4명 중 1명가량이 분양 직후 타인에 임대를 준 것으로 드러났다고 합니다.

국민의힘 조명희 의원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6년간 적십자사 임직원 20명이 특공 대상 확인서를 발급받았고, 이 중 18명이 원주에 들어선 아파트 5곳의 특공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는데요.

특공으로 아파트 분양을 받은 직원 5명은 입주 후 얼마 되지 않아 다른 곳으로 이사해 임대수익을 거둬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또, 특공 확인서를 받은 직원 33퍼센트가 3년 안에 강원도 원주 지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되면서 지역순환근무로 근무지역이 자주 바뀌는 적십자사 특성상 특공이 적합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신문입니다.

우리나라 식품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식품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퍼센트 오르면서 38개국 회원국 가운데 터기, 호주에 이어 세 번째를 차지했다는데요.

밥상물가뿐만 아니라 영화관람료, 택배 이용료, 외식비 등 일상생활에서 소비되는 개인 서비스 물가도 크게 오르고 있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더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는 물가 오름세를 '일시적 현상'이라고 강조했지만, 최근 폭염으로 잎채소 가격이 크게 뛰고 작황 부진으로 쌀 가격도 오르고 있어서 하?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