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연등회, 21번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3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과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뉴시스입니다.

◀ 앵커 ▶

'연등회'가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에 21개 종목을 올리게 됐는데요.

연등회는 '삼국사기'에도 기록된 불교행사로, 부처님의 탄생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행사입니다.

연등법회와 연등행렬, 회향 등으로 이뤄지고 '진리의 빛으로 세상을 비춰 차별 없고 풍요로운 세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한 전문가는 "연등회가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연행되고 있고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중요한 유산으로 여기는 것과 문화 다양성을 잘 보여주는 유산이라는 점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고용노동부가 사내하청 노동자 불법파견 혐의를 받은 현대자동차에 대해 1차 협력업체 노동자 3668명을 직접 고용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당사자인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노동부가 시정지시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면서 직접 고용 대상자 명단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는데요.

노동부가 직접고용 대상자로 현대차에 통보한 3668명 중 3300여 명은 특별채용 방식으로 직접 고용됐지만, 나머지 300여 명은 여전히 사내하청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노동부가 회사 쪽에 시정지시를 조처하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노동자 측 주장에 노동부 울산지청은 "사건이 진행 중이어서 직접 고용 대상자 명단을 공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국민일보입니다.

변창흠 국토교통부장관 후보자가 집값 안정 대책으로 주장해온 토지임대부 방식의 마을공동체 주택이 이번 달 말 서울에서 첫 선을 보입니다.

'공동체주택'은 입주자들이 커뮤니티 공간을 함께 쓰면서 공동체 규약을 기반으로 공동의 관심사와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주택인데요.

중랑구 면목동에 준공되는 공동체주택 '도서당'은 중랑천 근처에 남은 자투리땅을 서울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임대해 주고 민간이 주택을 공급 운영하는 '토지임대부' 방식으로 추진됐고

건물 단위가 아닌, 주택과 기반 시설을 갖춘 '마을' 단위로 조성된다고 합니다.

◀ 앵커 ▶

세계일보 살펴봅니다.

앞으로 특정 보험상품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인도 보험사들이 제공하는 건강 관리와 운동지원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어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험업권의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는데요.

보험사의 자회사 소유 규제도 완화돼서 보험업 관련 업무를 하는 회사가 아니어도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으면 헬스케어나 마이데이터 같은 신산업 분야를 자회사로 둘 수 있게 됩니다.

또, 보험 가입자가 통장사본 같은 서류를 직접 제출하지 않아도 보험사가 공동이용망을 통해서 관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권을 확대시키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경제입니다.

카카오가 어제 선보인 '카카오톡 지갑' 서비스에서 첫날부터 오류가 발생해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카카오톡 지갑'은 카카오톡에 신분증과 자격증, 각종 증명서를 보관하고 꺼내 쓸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서비스가 출시된 어제 오전 9시부터 접속 장애가 발생하면서 이용자들은 지갑을 개설하지 못하거나 접속이 지연되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카카오 측은 "지갑을 생성하는 페이지에 많은 이용자가 몰리면서 접속이 지연됐다"면서 "앞으로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서울신문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출을 제한한 2021년도 국방수권법에 대해서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국방수권법은 주한미군 규모를 지금의 2만 8500명 미만으로 줄이는 데 필요한 예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건데요.

백악관 대변인은 소셜미디어업체에게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의 법적 책임을 묻지 못하게 하는 '통신품위법 230조 폐지'가 국방수권법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문제로 삼았습니다.

국방수권법은 상하원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됐지만 해외 주둔 미군 감축을 추진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1?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