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미군 주둔 비용 3조?…"인상 압박 거셀 듯"

  • 5년 전

◀ 앵커 ▶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의 차기 방위비협상에서 막대한 금액을 요구할 수 있다는 미국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금의 3배에 달하는 3조원 정도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겁니다.

워싱턴 여홍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국에 부과할 미군 주둔비용과 관련해 새로운 공식을 만들어냈다고 전했습니다.

이른바 '비용 플러스 50'

해당 동맹국에 미군 주둔비용을 전액 부담시키는 건 물론, 추가로 50%를 더 받겠다는 겁니다.

특히 최근 한미 방위비 협상 때 유효기간이 '1년'으로 합의된 점을 들어, 차기 협상 때 미국이 '비용 플러스 50'을 요구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도 지난 주말 비슷한 내용을 보도했다는 점에서 그냥 흘려듣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대선 후보시절, 한국이 미군주둔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던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2016년 5월)]
"왜 100% 부담은 안 되는 거죠? 우리는 동맹국을 지켜주고 있지만 그들은 돈을 내지 않아요."

대통령이 되자 주둔비용에 프리미엄까지 얹어 받으려 한다는 겁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협상 카드로 꺼내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작년 6월)]
"미군을 철수시키고 싶습니다. 그들을 집으로 보내주고 싶습니다."

북미 비핵화 협상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할 경우 미국이 항공모함 등을 동원한 무력시위를 하면서 한국에 비용을 요구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에 대해 많은 참모들이 반대하고 있고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동맹의 가치를 돈으로 계산하는 그의 셈범이 바뀌지 않은 한, 우리로선 험난한 협상이 예상됩니다.

워싱턴에서 MBC뉴스 여홍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