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협치 첫발…"재난지원금 추석 前 지급노력"

  • 4년 전
여야 협치 첫발…"재난지원금 추석 前 지급노력"

[앵커]

오늘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여야 대표가 회동을 했습니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취임한 이후 이런 자리는 처음인데,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국회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방현덕 기자.

[기자]

네,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오늘 오찬 회동은 1시간10분 가량 이어졌습니다.

회동 후 양당의 발표를 종합하면, 일단 양당은 4차 추경을 최대한 빨리 처리해 2차 재난지원금을 추석 전 많은 국민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낙연 대표는 '다음주 금요일'을 추경 처리 시한으로 제시했는데,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염려 말라'고 화답했습니다.

또 양당은 지난 총선 공약과 정강정책 중 공통되는 서른 일곱개 사안을 양당 정책위가 협의해 함께 처리를 추진하고, 오는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코로나19 방역과 민생지원에 관련된 법안도 최대한 많이 처리하자고 합의했습니다.

오늘과 같은 자리도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갖기로 했습니다.

[앵커]

그간 여야가 대립해왔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분위기가 나아진 것 같은데요.

양당의 협치가 한 걸음 진전했다, 이렇게 평가를 해도 될까요?

[기자]

그런 측면도 분명 있습니다만, 꼭 합이 잘 맞는 모습만 보여준 건 아니었습니다.

일단 이낙연 대표는 자신을 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영수회담을 공개 제안했는데, 김 위원장은 끝내 답하지 않았습니다.

또 김 위원장은 협치를 하려면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며, 현재 관례를 깨고 민주당이 독식한 18개 상임위원장 중 법사위원장 등 7개를 달라는 국민의힘의 요구를 사실상 거듭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 대표가 이번 개원협상에서 겪은 우여곡절을 9월 국회에서 되풀이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며 부정적 입장을 내놓자 김 위원장은 "현안이 풀리지 않는다면 여야의 긴장관계가 유지될 수 밖에 없다"고 응수하는 등 신경전이 벌어졌습니다.

김 위원장은 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안에 대해서도 "국민은 한번 정부 돈에 맛을 들이면 떨어져 나가려하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했고, 이 대표는 비대면 국회회의를 법으로 허용하자는 제안에 김 위원장이 공감은 했지만, 동의를 주저했다고 의총에서 밝혔습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코로나 확진자 수가 정치적으로 조절되는 것 같다며 국회라도 코로나 전수조사를 하자는 제안을 내놨는데요.

박병석 의장은 국회 구성원이라고 예산을 들여 전수조사하는 게 적절한지, 그런 평등의 문제가 없다면 논의해보겠다고 답했습니다.

[앵커]

현재 정치권에서 가장 뜨거운 사안은 아무래도 추미애 법무부장관 아들 의혹이죠.

오늘은 어떤 상황입니까?

[기자]

네 추미애 장관 아들의 군 생활 특혜 의혹을 놓고 여야는 회의석상과 언론을 통해 치열한 장외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김태년 원내대표는 야당의 주장을 '검증되지 않은 의혹'이라고 깎아내리며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고 주장했고, 30대인 장경태 의원도 추 장관 부부가 국방부에 아들 대신 휴가 연장 민원을 했다는 의혹을 두고 "부모자식 관계를 단절하라고 살아야 하느냐"며 강하게 두둔했습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추 장관의 즉각적 사퇴를 촉구했는데요.

주호영 원내대표는 '결정적 제보'가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에게 결단을 내리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