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미국에서는 영주권이 있는 한국 유학생이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에 참가했단 이유로 추방 위기에 놓인 적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영주권자의 체포나 추방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민자 사회는 불안에 떨고 있는데요.
우리 동포 사회의 우려는 무엇인지 한인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재선 캠페인 때부터 이민자에 대한 강경 기조를 강조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 내 한인 유학생을 포함한 이민자 사회는 직접적인 위협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한국계 영주권자 정윤서 씨.
지난달, 팔레스타인 민간인 학살을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로부터 영주권 박탈과 체포를 통보받았습니다.
정 씨는 곧바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에서는 정부 조치에 정당한 근거가 부족하다며 추방 집행을 중단하도록 명령했습니다.
컬럼비아대 학생들 역시 이번 사태를 부당하다고 지적하며 연대의 뜻을 밝혔습니다.
[에드워드 리 / 컬럼비아대 학생 : 이민은 미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수십 년 아니 수백 년 동안 미국의 중요한 일부였습니다 단순히 이민자 신분이라는 이유만으로 학생들에게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정치적으로 학생들의 목소리를 억제하려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엠마 / 컬럼비아대 학생 : 최근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정말 무섭습니다. 제가 전에 다니던 학교에 팔레스타인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는 캐나다에 갔다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지 못했어요. 정말 무서운 일이 벌어진 거죠.]
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와 시민권자마저도 추방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에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김갑송 / 민권센터 사무국장 : 서류 미비자뿐 아니라 영주권자 시민권자들이 어떤 걸 조심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알리고 있고요.]
[주디 김 / 이민법 전문 변호사 : 영주권자 분들께서 불안하시면 아 내가 과거에 기록에서 혹시라도 예를 들어서 영주권을 받고 나서 내가 옛날에 다녔던 회사라든가 학교에 문제가 있었다든가 아니면 영주권을 받기 전이든지 후든지 형사 처벌 기록이 있다던가 뭐 이런 것이 있으면은 과연 해외 여행을 해도 되는지 시민권 신청을 해도 되는지 이런 것들을 좀 조심해서 판단하셔야 될 것 같고요.]
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46&key=20250418091333731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이처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영주권자의 체포나 추방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민자 사회는 불안에 떨고 있는데요.
우리 동포 사회의 우려는 무엇인지 한인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재선 캠페인 때부터 이민자에 대한 강경 기조를 강조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 내 한인 유학생을 포함한 이민자 사회는 직접적인 위협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한국계 영주권자 정윤서 씨.
지난달, 팔레스타인 민간인 학살을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로부터 영주권 박탈과 체포를 통보받았습니다.
정 씨는 곧바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에서는 정부 조치에 정당한 근거가 부족하다며 추방 집행을 중단하도록 명령했습니다.
컬럼비아대 학생들 역시 이번 사태를 부당하다고 지적하며 연대의 뜻을 밝혔습니다.
[에드워드 리 / 컬럼비아대 학생 : 이민은 미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수십 년 아니 수백 년 동안 미국의 중요한 일부였습니다 단순히 이민자 신분이라는 이유만으로 학생들에게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정치적으로 학생들의 목소리를 억제하려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엠마 / 컬럼비아대 학생 : 최근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정말 무섭습니다. 제가 전에 다니던 학교에 팔레스타인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는 캐나다에 갔다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지 못했어요. 정말 무서운 일이 벌어진 거죠.]
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와 시민권자마저도 추방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에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김갑송 / 민권센터 사무국장 : 서류 미비자뿐 아니라 영주권자 시민권자들이 어떤 걸 조심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많이 알리고 있고요.]
[주디 김 / 이민법 전문 변호사 : 영주권자 분들께서 불안하시면 아 내가 과거에 기록에서 혹시라도 예를 들어서 영주권을 받고 나서 내가 옛날에 다녔던 회사라든가 학교에 문제가 있었다든가 아니면 영주권을 받기 전이든지 후든지 형사 처벌 기록이 있다던가 뭐 이런 것이 있으면은 과연 해외 여행을 해도 되는지 시민권 신청을 해도 되는지 이런 것들을 좀 조심해서 판단하셔야 될 것 같고요.]
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46&key=20250418091333731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얼마 전 미국에서는 영주권이 있는 한국 유학생이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추방 위기에 놓인 적이 있었습니다.
00:09이처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영주권자의 체포나 추방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민자 사회는 불안에 떨고 있는데요.
00:17우리 동포사회의 우려는 무엇인지 한인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00:23대선 캠페인 때부터 이민자에 대한 강경 기조를 강조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00:30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 내 한인 유학생을 포함한 이민자 사회는 직접적인 위협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00:39콜롬비아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한국계 영주권자 정윤서 씨.
00:45지난달 팔레스타인 민간인 학살을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로부터 영주권 박탈과 체포를 통보받았습니다.
00:54정 씨는 곧바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에서는 정부 조치에 정당한 근거가 부족하다며 추방 집행을 중단하도록 명령했습니다.
01:07콜롬비아 대 학생들 역시 이번 사태를 부당하다고 지적하며 연대의 뜻을 밝혔습니다.
01:12소송은 취임 이후에 참가했고 있습니다.
01:14고맙습니다.
01:16세계에서 많은데까지는 역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01:18많은데, 많은데, 많은데, 많은데, 많은데 역할을 지적합니다.
01:22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와 시민권자마저도
01:52추방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에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02:22전이든지 후든지 형사처벌 기록이 있다든가 이런 것이 있으면 과연 해외여행을 해도 되는지 시민권 신청을 해도 되는지 이런 것들을 조심해서 판단하셔야 될 것 같고요.
02:35지난 임기 중에도 트럼프 정부는 시민권 박탈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민자의 시민권을 취소하고 추방하는 조치를 추진해왔습니다.
02:47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석 달째.
02:50한인 사회를 포함한 미국 내 이민자 커뮤니티가 다시금 불안과 위기의 한가운데 텄습니다.
02:57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