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14.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4월 15일 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한겨레신문입니다.

지난달엔 서울 명일동, 지난 11일엔 광명 지하터널에 이어 어제는 부산 사상구와 서울 애오개역까지 이렇게 잇따라 발생하는 땅 꺼짐 사고에 시민들의 불안과 공포는 커져만 갑니다. 그런데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법적 규정이 없다는 점을 다뤘습니다. 땅 꺼짐 사고에 대한 규정과 보상 여부, 책임 소재 모두 모호합니다. 땅 꺼짐이 '재난 재해'를 규정한 어느 법에도 명확하게 규정돼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재난안전법에서 말하는 '붕괴'는 건물이 무너지는 사고라 땅 꺼짐은 해당이 안 됩니다. 결국 막막해지는 건 보상 받을 방법이 없는피해자들입니다. 사회적 재난 피해자라면 모든 서울시민이 자동으로 가입돼있는 '시민안전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땅 꺼짐은 사회적 재난으로 분류되지 않아서, 시민안전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명일동 사고의 경우엔 뒤늦게 대통령령의 사회적 재난 규정을 확대 적용해서 인정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에서도 도로 땅 꺼짐은 제외되고요. 그 어느 법에도 도로 땅 꺼짐 예방이나 관리 책임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안전을 위해 관리 대상을 확대하는 식으로 재난· 재해 법체계를 다시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 의견도 신문은 함께 실었습니다.

다음 국민일보입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까지 123일.계속된 도심 집회에는 늘 광장을 깨끗하게 복원하는 환경미화원들의 노고가 있었습니다. 선고일에만 화환 등을 합쳐 26톤의 쓰레기를 치웠고, 한겨울에 속옷이 다 젖을 만큼 땀 흘려 일했다고 합니다. 대규모 시위가 끝날 때마다 이렇게 거대한 쓰레기더미가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종로구 환경미화원들은 약 4개월간 근무시간 중엔 휴식도 제대로 취하지 못했습니다. 탄핵 선고일 직전 3주간은 단 하루도 못 쉬고 연속 근무를 할 정도였습니다. 22년의 청소 경력 동안 가장 힘든 나날들이었다고 하네요.
선고일이었던 지난 4일엔 26톤의 쓰레기를 하루에 처리해야 했습니다. 또 매주 열리던 광화문 집회에선 하루에만 10~15톤의 쓰레기가 이렇게 나왔습니다. 시위가...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15062900763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4월 15일 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00:15먼저 한결의 신문입니다.
00:17지난달에 서울 명일동, 지난 11일엔 광명 지하터널에 이어
00:21어제는 부산 사산구와 서울 애호개역까지
00:24이렇게 잇따라 발생하는 땅꼬짐 사고에 시민들의 불안과 공포는 커져만 갑니다.
00:30그런데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법적 규정이 없다는 점을 다뤘습니다.
00:35땅꼬짐 사고에 대한 규정과 보상 여부, 책임 소재 모두 모호합니다.
00:41땅꼬짐이 재난재해를 규정한 어느 법에도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00:47재난안전법에서 말하는 붕괴는 건물이 무너지는 사고라 땅꼬짐은 해당이 안 됩니다.
00:53결국 막막해지는 건 보상받을 방법이 없는 피해자들입니다.
00:57사회적 재난 피해자라면 모든 서울시민이 자동으로 가입돼 있는 시민안전보험을 통해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01:06하지만 땅꼬짐은 사회적 재난으로 분류되지 않아서 시민안전보험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01:12명일동 사고의 경우에는 뒤늦게 대통령령의 사회적 재난 규정을 확대 적용해서 인정했습니다.
01:18중대재해법에서도 도로의 땅꼬짐은 제외되고요.
01:24그 어느 법에도 도로 땅꼬짐 예방이나 관리 책임이 명확히 정리가 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01:30안전을 위해서 관리 대상을 확대하는 식으로 재난재해법 제기를 다시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 의견도 신문은 함께 실었습니다.
01:38다음 국민일보입니다.
01:4112.3 비상계엄 사태 지구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까지 123일.
01:47계속된 도심지표에는 늘 광장을 깨끗하게 복원하는 환경미화원들의 노고가 있었습니다.
01:53선고일에만 화환 등을 합쳐서 26톤의 쓰레기를 치웠고요.
01:57한겨울에는 속옷이 다 젖을 만큼 땀 흘려 일했다고 합니다.
02:01대규모 시위가 끝날 때마다 이렇게 거대한 쓰레기 더미가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02:09종로구 환경미화원들은 약 4개월 동안 근무 시간 중에는 휴식도 제대로 취하지 못했습니다.
02:15탄핵선고일 직전 3주 동안은 단 하루도 못 쉬고 연속 근무를 할 정도였습니다.
02:2122년의 청소 경력 동안 가장 힘든 나날들이었다고 하네요.
02:25선고일이었던 지난 4일에는 26톤의 쓰레기를 하루에 처리해야 했습니다.
02:31또 매주 열리던 광화문 집에서는 하루에만 10톤에서 15톤의 쓰레기가 이렇게 나왔습니다.
02:38시위가 길어지자 종로구는 환경미화원 투입 인력을 점점 늘렸습니다.
02:43뿐만 아니라 용산의 한남동 관저일 때는 지난 1월에만 12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02:49환경미화원 471명이 투입됐습니다.
02:53한겨울에 속옷이 다 젖을 정도로 힘들었지만 그래도 시민들이 고맙다리 인사를 하거나
03:00같이 쓰레기를 치워줄 때 가장 감사하다고 이들은 말했는데요.
03:04고생 정말 많으셨고 저도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03:11끝으로 서울신문입니다.
03:13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건강검진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03:16역대 최고령으로 취임했지만 인지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뛰어난 건강상태에 있다는 결과인데요.
03:2379세 트럼프의 시간은 왜 거꾸로 가는 걸까요?
03:28트럼프 대통령의 콜레스테롤이나 간수치, 헐압 모두 정상이었습니다.
03:32심지어 몸무게는 5년 전보다 9kg이 줄었습니다.
03:37인지력 평가에서도 만점을 받았고요.
03:39우울증이나 불안 징후도 없었습니다.
03:41콜레스테롤 조절 약물과 아스피린, 피부 연고 정도만 처방받고 있습니다.
03:48트럼프 대통령은 젊은 시절부터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를 즐겨 먹은 거로 유명한데요.
03:54그럼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 뭘까요?
03:57먼저 술과 담배를 전혀 하지 않습니다.
04:00알코올 중독으로 형이 43세 사망한 게 계기가 됐습니다.
04:04또 자신을 젊다고 인식하는 사고가 노화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됐고요.
04:09사회적 관계와 신체활동도 모두 활발한 편입니다.
04:14트럼프 대통령은 또 SNS를 애용하는 거로도 유명하죠.
04:18SNS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04:23적어도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하는 좋은 스트레스 해소 창구였을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04:324월 15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04:34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