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큰 인기를 끌면서 드라마 배경으로 나온 제주와 지역 언어에 대한 관심도 커졌습니다.
하지만 제주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어,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천생연분 '제주도 커플' 애순이와 관식이의 파란만장한 인생.
보편적인 서사와 문학적인 대사, 디테일한 연출이 더해져 인생드라마란 극찬이 쏟아졌습니다.
"뭐든 기어코 키워 내는 여름. 방 한 칸, 살림 하나 늘려 가는 재미에 내 성실한 부모는 땀 젖는 줄도 몰랐다고 했다.]
이 작품의 폭발적인 화제성과 함께 독특한 느낌의 '제주어'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반짝반짝이라는 의미 '펠롱펠롱' 야무지고 똑똑하다는 '요망지다'처럼 발음이 귀여운 단어들이 작품의 서정성을 더했고,
배우들의 열연과 말맛이 살아있는 제주어가 어우러져 극의 몰입감을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폭싹 속았수다' 중 대사 : 봄볕에 오라방 가심이 타는 걸 왜 애순이만 몰라 주까이?]
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일타 강사'처럼 제주어와 제주 특유의 문화를 설명해주는 도민의 콘텐츠가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나도 아까웡 못 하는걸!' 아까웡 나왔죠? 뭐라 그랬어요? 'ㅇ'이 들어간 건? 그렇죠. '아까워서']
드라마 해설뿐 아니라 재기발랄한 콘텐츠가 MZ세대 감성을 저격해 제주어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제주도에서는 '뭐뭐 하겠느냐'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겐' 이런 식으로요. (야, 너 가이랑 사귀맨?) 야 내가 가이랑 사귀겐? (야 너 공부핸?) 아 내가 공부 했겐?]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제주도 문화나 언어를 소개해봤더니 사람들이 좋아해 줘서 '아, 사람들이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신기해 하는구나'라는 걸 깨닫고 저도 지속적으로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대중의 호감은 커지고 있지만, 제주어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 상태입니다.
도민들에게 제주어 소멸 정도가 심각하냐고 물었더니 10명 중 7명 가까이 그렇다고 했고, 보전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엔 80% 이상 압도적인 비율로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앞면엔 감정 상태를 표현한 제주어, 뒷면엔 표준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73&key=2025041219244320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하지만 제주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어,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천생연분 '제주도 커플' 애순이와 관식이의 파란만장한 인생.
보편적인 서사와 문학적인 대사, 디테일한 연출이 더해져 인생드라마란 극찬이 쏟아졌습니다.
"뭐든 기어코 키워 내는 여름. 방 한 칸, 살림 하나 늘려 가는 재미에 내 성실한 부모는 땀 젖는 줄도 몰랐다고 했다.]
이 작품의 폭발적인 화제성과 함께 독특한 느낌의 '제주어'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반짝반짝이라는 의미 '펠롱펠롱' 야무지고 똑똑하다는 '요망지다'처럼 발음이 귀여운 단어들이 작품의 서정성을 더했고,
배우들의 열연과 말맛이 살아있는 제주어가 어우러져 극의 몰입감을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폭싹 속았수다' 중 대사 : 봄볕에 오라방 가심이 타는 걸 왜 애순이만 몰라 주까이?]
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일타 강사'처럼 제주어와 제주 특유의 문화를 설명해주는 도민의 콘텐츠가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나도 아까웡 못 하는걸!' 아까웡 나왔죠? 뭐라 그랬어요? 'ㅇ'이 들어간 건? 그렇죠. '아까워서']
드라마 해설뿐 아니라 재기발랄한 콘텐츠가 MZ세대 감성을 저격해 제주어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제주도에서는 '뭐뭐 하겠느냐'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겐' 이런 식으로요. (야, 너 가이랑 사귀맨?) 야 내가 가이랑 사귀겐? (야 너 공부핸?) 아 내가 공부 했겐?]
[뭐랭하맨 / 제주 관련 콘텐츠 유튜버 : 제주도 문화나 언어를 소개해봤더니 사람들이 좋아해 줘서 '아, 사람들이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신기해 하는구나'라는 걸 깨닫고 저도 지속적으로 하게 된 것 같습니다.]
대중의 호감은 커지고 있지만, 제주어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 상태입니다.
도민들에게 제주어 소멸 정도가 심각하냐고 물었더니 10명 중 7명 가까이 그렇다고 했고, 보전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엔 80% 이상 압도적인 비율로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앞면엔 감정 상태를 표현한 제주어, 뒷면엔 표준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73&key=2025041219244320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넷플릭스 드라마 폭삭 속아쓰다가 종영 후에도 여전히 화제입니다.
00:06아이유 등 주연 배우들은 물론이고 배경이 된 제주도와 지역어에 대한 관심도 커졌는데요.
00:12할 줄 아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제주 지역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00:19잘 만든 드라마 한편이 사라져가는 언어도 다시 보게 만든 건데요.
00:24드라마로 재조명된 제주어의 현재 상황을 알아봅니다.
00:30너무나 어렵고 여전히 어린 그들의 계절에
00:34악고운 당신 복삭 속아쓰다.
00:40천생연분 제주도 커플 애순이와 관식이의 파란만장한 인생.
00:46보편적인 서사와 문학적인 대사, 디테일한 연출이 더해져 인생 드라마란 극찬이 쏟아졌습니다.
00:52뭐든 기어코 키워내는 여름.
00:56방 한 칸 살림 하나 늘려가는 재미에
00:59내 성실한 부모는 땀 젖는 줄도 몰랐다고 했다.
01:05이 작품의 폭발적인 화제성과 함께 독특한 느낌의 제주어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01:12반짝반짝이라는 의미 펠롱펠롱.
01:14야무지고 똑똑하다는 요망지다처럼
01:17발음이 귀여운 단어들이 작품의 서정성을 더했고
01:20배우들의 여련과 말맛이 살아있는 제주어가 어우러져
01:25그게 몰입감을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01:27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일타강사처럼 제주어와 제주 특유의 문화를 설명해주는 도민의 콘텐츠가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01:42나도 아까 못하는 걸.
01:44아까 워 나왔죠?
01:45뭐라고 그랬어요?
01:46이행이 들어간 건.
01:47그렇죠.
01:47아까 워서.
01:48드라마 해설뿐 아니라 재개발하는 콘텐츠가
01:52MZ세대의 감성을 저격해
01:54제주어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01:58제주도에서는 뭔가 겟냐라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02:01겐?
02:01이런 식으로요.
02:02야 너 가야랑 사귀면?
02:03야 내가 가야랑 사귀겐.
02:04야 너 공부해?
02:05어 내가 공부했겐.
02:07제주도 문화나 언어를 소개해봤더니
02:09사람들이 좋아해줘서
02:11아 사람들이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신기해하는구나 라는 걸 깨닫고
02:15저도 지속적으로 하게 된 것 같습니다.
02:18대중의 호감은 커지고 있지만
02:20제주어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 상태입니다.
02:25도민들에게 제주어 소멸 정도가 심각하냐고 물었더니
02:2810명 중 7명 가까이 그렇다고 했고
02:31보전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엔 80% 이상
02:35압도적인 비율로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02:39앞면엔 감정 상태를 표현한 제주어
02:41뒷면엔 표준어와 해설이 담긴 이른바 마음 카드입니다.
02:46제주어 소멸에 대한 위기의식 속에서
02:48이 같은 언어 교육이 도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02:53교실에서 선생님들께서 제주어 수업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하실 수 있도록 제작이 되었고요.
03:00작년에 초등학교 대상으로 1,400부 제작해서 배부했고
03:03올해는 중학교로 확대해서
03:06젊은 세대들이 쉽게 단어를 검색해
03:09의미를 바로바로 파악할 수 있는 모바일 사전도 나와
03:12제주어의 대중화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03:16들어 썸 시민 개모로사 모살리카 양
03:18마구 쓰다 보면 아무려면 못 살리겠습니까?
03:21이 말처럼 우리 보유의 제주어를 지키라는 노력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03:27YTN 김승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