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대원에 수중수색 지시한 윗선은 누구…경찰, 대질조사

  • 그저께
순직 해병대원에 수중수색 지시한 윗선은 누구…경찰, 대질조사

[앵커]

'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관련해 소속 부대 지휘관들이 오늘(19일) 경찰에 출석했습니다.

경찰은 대질조사를 통해 누가 수중수색 지시를 내렸는지를 밝혀낼 계획입니다.

정지훈 기자입니다.

[기자]

숨진 채 상병 소속 부대의 핵심 지휘관으로 꼽히는 해병대 1사단 7여단장과 포 11대대장이 경찰에 출석했습니다.

사고 원인을 둘러싼 지휘관들의 엇갈린 진술을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경찰은 안전 장구 없이 수중수색 지시가 이뤄진 상황에 대해 이번 해병대 지휘부 대질조사를 통해 밝혀낼 계획입니다.

7여단장은 지난해 수해가 난 경북 예천에서 해병대의 수해복구와 수색작전 등 현장 활동 총괄 지휘를 맡았던 인물입니다.

물에 들어가서 수색하란 지시하셨습니까? "....." 본인이 직접 판단해서 지시하신 겁니까? "....."

11대대장은 당시 현장 활동 지휘관 중 선임 대대장으로 상급 부대 지시 등을 후배 지휘관에게 전파했습니다.

"모든 부분이 전부 다 엇갈리는 것이 아니라 일치하는 부분도 있고 엇갈리는 부분이 좀 있긴 한데 그런 부분들도 조사를 통해서 성실히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채 상병 순직 사고를 처음 수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지난해 7월,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과 7여단장 등 모두 8명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해 경찰에 이첩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국방부 조사본부는 지난해 8월, 11대대장과 숨진 채 상병 소속 부대인 7대대장 등 2명에 대해서만 혐의를 적시해 재이첩했습니다.

이 때문에 수사 외압 의혹과 해병대원 순직 사고 진실 규명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 경찰 조사와 박 전 수사단장 재판에 제출한 진술서 등을 통해 수중수색 지시를 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무리한 수색 작전의 원인이 부하들이 자신의 지시사항을 임의로 작성했기 때문이란 입장입니다.

경찰은 임 전 사단장을 비롯한 핵심 지휘관들에 대한 진술 분석과 증거 등을 바탕으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대상을 가려낼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

[현장 취재 김완기]

#해병대 #순직 #진상규명 #대질조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