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안 따도 된다"...복귀 데드라인에도 움직이지 않는 전공의들

  • 어제
 
정부가 20일을 전공의 복귀 데드라인으로 제시했지만, 이렇다 할 복귀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 전공의 단체도 공식 입장을 따로 내지않고 조용한 모습이다. 일부 전공의가 복귀 문의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이 수련병원들의 설명이다. 
 

 ━
  병원들 “전공의 복귀 없어”…전공의 요지부동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 ‘빅5’ 병원 등 주요 대형병원에 복귀한 전공의(인턴·레지던트)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빅5 소속 전공의는 2745명으로, 전체 전공의(1만3000여명)의 21% 수준이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복귀 문의는 크게 없고 조용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 측도 각각 “복귀 움직임은 없다”고 설명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전국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했더니 출근 중인 레지던트 수는 600여명”이라고 밝혔다. 전체 전공의 4.6%에 그치는 미미한 전공의가 근무 중인 셈이다. 
 
정부는 전공의 집단사직이 시작한 지 3개월이 된 이날을 복귀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 전문의수련규정에 따라 전공의가 미수련 기간이 3개월을 넘는다면 내년 초로 예정된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갖지 못하게 된다. 전공의는 일정 기간 병원에서 수련을 받고 전문의 자격을 따게 되는 의사를 말하는데, 전문의 진입을 앞둔 고연차(3~4년 차) 전공의는 총 2910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고연차는 당장 내년 시험이 불가하고, 저연차도 전문의 취득 시험이 1년 연기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공의들은 “전문의 자격 취득 시점은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서울 ‘빅5’ 병원 4년 차...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0545?cloc=dailymotion

추천